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만0세
- 유아
- 놀면서 자란다
- 영아 그림책
- 기저귀
- 유치원
- 유아 미디어 시청
- 영아
- 부모지원
- 대소변조절근육
- 영아기
- 언어
- 만2세
- 육아
- 발달
- 유아문학
- 정서
- 만3세
- 배변훈련
- 발달 특징
- 올바른 미디어 사용법
- 그림책 추천
- 영아 기저귀
- 만1세
- 미디어 노출
- 핸드폰 시청
- 영아기 미디어
- 유아 배변훈련
- 어린이집
- 유아기
- Today
- Total
목록만2세 (5)
grace

안녕하세요 :) 지난 포스팅에서는 '유아문학'이란 무엇이고 유아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하다 보면 아이들이 얼마나 그림책을 얼마나 좋아하고 그림책을 통해 넓은 세상을 알아가고 배우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 그림책의 환상적인 내용으로 스트레스도 해소하고 다양한 상상을 하기도 하고, 도덕적 규범을 익히고 배려와 섬김을 배우기도 합니다. 오늘은 지난 번 예고한 대로 '연령에 맞춘' 영유아 도서를 추천해 드리려 합니다. 어릴 적 부터 다양한 책을 접하는 게 좋다는데, 각 나이별로 어떤 책을 골라야할까 참 많은 고민이 됩니다. 우선 그림책의 가장 큰 특징은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입니다. 이에 맞춰 아이들이 좋아하고 흥미있어 하는 책을 골라주면 좋겠죠 :) 더..

안녕하세요 :) 오늘은 '유아문학'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어린시절 어른들이 늘 '책 읽어라, 책 속에 답이 있다!' 하는 이야기 다들 한 번쯤은 들어 봤을거라 생각됩니다. 다들 '독서'의 장점은 너무 잘 알고 있죠. 신년계획으로 올해 목표 독서량을 정해놓은 사람들도 많을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은게 독서이기도 하죠. 바빠서, 재미있는 책을 못 찾아서, 집중력이 흐려져서, 책 보다는 영상에 익숙해져서 등등 책에 쉽게 빠지지 못하는 이유는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들은 어떨까요? 현장에서 제가 본 아이들은 늘 선생님이 들려주는 그림책을 흥미롭게 듣고, 자신들의 일상에 대입하곤 합니다. 또 한창 말이 트이는 시기의 영아들은 '책 읽어줘' 하며 좋아하는 그림책을 갖고 오고,..

안녕하세요 :) 지난 시간에는 영유아기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런 중요한 '놀이' 어떻게 지원해주면 좋을지 적어보려 합니다. 부모님들~ 영유아기의 '놀이'가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막상 어떻게 지원해 줄 지를 생각하면 막막해 하곤 합니다. 더불어 왜 '아빠표 신체놀이 모음집'인지도 설명을 통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아빠표 신체놀이의 특징' 우선 아빠와 엄마는 일반적인 '힘'의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우리 엄마들이 힘과 체력적인 면에서 아이들과 놀이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느끼는 '힘이 센 우리 아빠'와의 놀이를 통해 힘의 차이도 느껴보고 때로는 경쟁심도 느껴보며 다양한 자극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극은 우리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

안녕하세요 :) 지난 포스팅에서는 좋은 태교란 무엇인지, 아이들의 기질에는 어떤 것이 있고, 기질을 어떻게 바라보고 양육에 적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달이 중요한 이유와 아이들의 연령별 발달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요즘 육아에서 '발달'을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발달'은 대체 무엇이고, 연령별 발달 특징은 왜 중요할까요? 오늘도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신의진교수의 '아이심리백과'에 영향을 받아 작성한 글임을 알립니다. 발달은 무엇이고, 부모님은 왜 발달에 대해 알아야 할까요? 사전적 의미로 발달은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시간적 변화과정을 뜻합니다. 이 안에는 인지, 정서, 사회, 신체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바르게 성장한다는 것은 출생에서부터 자..